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It
- Mac
- 루메나
- 타임머신
- macbook
- 27UP850N
- wwdc 2020
- Fan Pro 3세대
- 맥북
- iOS 14
- 웹 프로그래밍
- html
- LG V20
- 코딩
- 맥북프로
- EC2
- 휴대용 선풍기
- V20
- Iphone 12
- LUMENA
- 아이폰12
- 오난코리아
- 프론트
- 애플
- iphone
- 맥
- 샤오미
- AWS
- TimeMachine
- mysql
- Today
- Total
이것저것 적어보는 블로그
HTML - 2 본문
텍스트를 묶어주는 태그
- <hn> 태그 - 제목 표시하기. <h1>(가장 큼) ~ <h6>(가장 작음)
<h1> 제목 </h1> 의 형태로 사용
- <p> 태그 - 단락 만들기. </p>태그를 만날 때 까지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. 텍스트를 한 줄로 표기, 너비에 따라서 줄을 자동으로 변경한다
<p> 텍스트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br> 태그 - 줄 바꾸기. 줄을 바꿀 경우에 사용, **닫는 태그 없음!
<br> 의 형태로 사용, 텍스트 단락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단락이랑 다름
- <hr> 태그 - 수평 줄 넣기. 단락의 주제가 바뀔 때 분위기 전환용으로 사용, 가본으로 가로선 삽입되며 CSS로 숨김 가능하다
<hr> 의 형태로 사용
- <blockquote> 태그 - 인용문 넣기. 다른 텍스트보다 안으로 들여 써짐. cite속성 이용해 주소 표시도 사용 가능
<blockquote> 인용 내용 </blockquote> 의 형태로 사용
- <pre> 태그 - 입력하는 그대로 표시. 소스에 표시한 공백이 그대로 표시 됨. 프로그램 소시를 표시할 때 유용 ex) <code>,<samp>,<kbd>등등, <pre>태그의 접근성 고려해야함! TTS나 점자위 경우 <pre>태그 만나면 건너뛰기 해서 읽지 않음!
<pre> 텍스트 </pre> 의 형태로 사용
- <strong>, <b> 태그 - 굵게 표시. <strong>은 중요한 내용이라서 강조, <b>는 단순히 굵게 표시 (TTS의 경우 강조 여부 알려줌)
<strong> 굵게 강조할 텍스트 </strong> , <b> 굵게 강조할 텍스트 </b>의 형태로 사용
- <em>, <i> 태그 - 이탤릭체로 표시. <em>은 흐름상 특정부분 강조, <i>는 단순히 이탤릭체로 표시
<i> 이탤릭체로 표시할 텍스트 </i> , <em> 이탤릭체로 표시할 텍스트 </em>의 형태로 사용
- <q> 태그 - 인용 내용 표시. 줄 바꿈 없이 다른 내용과 한 줄에 인용 내용 표시. 인용 내용 앞뒤에 따옴표(" ") 추가 됨
<q> 인용 내용 </q> 의 형태로 사용
- <mark> 태그 - 형광팬 효과. 태그로 묶은 부분의 배경색이 노랑으로 표시됨
<mark> 텍스트 </mark> 의 형태로 사용
- <span>, <div> 태그 - 영역 묶기. <span>은 인라인 묶기, <div>는 블록 묶기
<span> 내용 </span> , <div> 내용 </div>의 형태로 사용
- <ruby> 태그 - 동아시아 글자에 주석 표시. <rt>태그를 사용해 주석 표시
<ruby> 내용 <rt> 주석 </rt> </ruby> 의 형태로 사용
- <abbr> 태그 - 약자 표시. title 속성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음
<p> 내용 <abbr title=" "> 약자 </abbr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cite> 태그 - 웹 문서나 포스트에서 참고 내용 표시
<p> 내용 <cite> 내용 </cite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code> 태그 - 컴퓨터 인식을 위한 소스코드
<pre><code> 내용 </code></pre> 의 형태로 사용
- <kbd> 태그 - 키보드 입력이나 음성 명령 같은 사용자 입력 내용
<p> 내용 <kbd> 명령 </kbd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small> 태그 - 부가 정보처럼 작게 표시해도되는 텍스트
<p> 내용 <small> 내용 </small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sub> 태그 - 아래 첨자
<p> 내용 <sub> 내용 </sub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sup> 태그 - 위 첨자
<p> 내용 <sup> 내용 </sup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s> 태그 - 취소선
<p> 내용 <s> 내용 </s> </p> 의 형태로 사용
- <u> 태그 - 밑줄
<p> 내용 <u> 내용 </u> </p> 의 형태로 사용
'개발&코딩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맨틱 태그 (Semantic Tag) (0) | 2020.11.05 |
---|---|
HTML - 3 (0) | 2019.01.27 |
HTML - 1 (0) | 2018.10.03 |